이번 전략은 이미 많이 알려졌고 퀀트 투자자라면 다 아는 내용일 것 같아 전략이라는 표현이 거창할 수 있다.
소형주만 대상으로 하되 전분기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이 많이 증가한 순서대로 종목을 매수하는 전략이다.
매우 간단한 전략임에도 불구하고 수익률은 어느 전략 못지않다.
아니 사실 다른 방법으로 이 정도 수익률을 내는 전략을 만들기도 굉장히 어려울 만큼 탄탄한 전략이다.
아마도 퀀트투자자라면 이런 성장성 전략 포트는 기본으로 운영하고 있을 것 같다.
(다만, 작년부터 재무와 관련한 포트의 수익률이 저조하지만 묵묵히 갈길을 가야 하는 것이 퀀트투자다)
젠포트뷰를 이용해 세 팩터의 분위별 성과를 확인해 보자.
젠포트뷰는 2007년부터 해당 팩터로 월1회 리밸런싱 했을 때의 분위별 성과를 보여준다.
1. 매출액성장률(YOY)
10분위보다 9분위의 수익률이 더 높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매출액증가율이 높을수록 수익률이 높다.
2. 영업이익성장률(YOY)
분위별로 확연하게 계단식으로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영업이익성장률이 높을수록 수익률도 높다.
9분위와 10분위 둘다 수익률이 좋다. 매출액성장률에 비해 수익성도 매우 좋은 편이다.
3. 순이익성장률(YOY)
영업이익성장률과 마찬가지로 분위별 수익률이 계단식으로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순이익성장률이 높을수록 수익률도 높았다.
다만, 9분위와 10분위의 수익률이 다른 분위에 비해 수익율이 매우 높은 편이었다.(8분위의 거의 두 배 이상)
성장성 팩터가 유용하다는 것은 이렇게 분위 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팩터 하나로 2,000%가 넘는 수익률을 나타내는 팩터는 흔하지 않다.
이를 토대로 단순하게 세 팩터의 합의 순위를 매겨 매수하는 전략을 세워보자.
■ 설정_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의 합이 높은 순으로 매수하기
매수조건식
A : 시가총액 하위 20%
B : 국민 마켓타이밍(코스닥 종가가 3,5,10 이평선보다 하나라도 위에 있을 때 매수)에 매수
매도조건식
A : 국민 마켓타이밍(코스닥 종가가 3,5,10 이평선보다 모두 아래에 있을때 메도)에 매수
매수 우선순위
{매출액성장률(YOY)}, {영업이익성장률(YOY)}, {순이익성장률(YOY)} 펙터의 합이 높은 순으로 매수
(수식은 아래 그림의 우선순위란 참고)
■ 결과
• 틱테스트 기간 2017.1.2~2023.6.23(6년) • 수수료율 0.015%
누적수익률 914.08%, CAGR 43.02%, MDD 23.69%의 결과로 6년 만에 원금이 10배가 되는 전략이다.
단순하게 세 팩터의 합이 높은 순으로 종목을 골랐을 뿐인데도 이렇게 높은 수익률을 볼 수 있다.
물론 여느 재무 팩터를 사용한 포트와 비슷하게 21년 하반기부터는 수익률이 좋지 않았다.
(21년 하반기부터 지금까지 재무 팩터만 이용해서는 수익을 보기 힘든 장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21년 하반기부터 큰 하락장에도 불구하고 큰 손해를 보지 않고 잘 버티고 있는 모습이다.
전략을 구상할 때 승률과 손익비는 매우 중요하게 체크해야 할 부분이다.
이 포트의 매매 승률은 48%이다. 50%가 안 되는 승률이지만 손익비가 현저히 높다면 기대수익도 높일 수 있다.
매매 횟수 중 244건은 목표가(30%)에 매도했고, 132건은 손절가(15%)에 매도했으므로 손익비는 약 3.7배이다.
(손익비를 계산해 보기 위해 마켓타이밍에 매도한 부분은 무시했다)
승률과 손익비 부분을 보아도 실전에 투입해도 큰 걱정이 없을 것 같은 포트이다.
이번 전략은 성장성을 이용한 퀀트 전략 중 매우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는
팩터라 소개해보았다. 재무지표를 이용한 퀀트투자에서 성장성 팩터는 큰 수익을 안겨주는 중요한 지표다.
성장 팩터는 PER, PBR 등의 저평가 종목을 찾는 팩터보다 MDD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런 성장 팩터를 저평가 팩터 및 재무 안전성 팩터 등과 함께 이용하면 흥미로운 전략을 더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젠포트 전략 연구 13-3. 신고가 전략 PBR로 강화시키기
이미 포스팅한 젠포트 전략 중 신고가 매수 전략을 PBR 펙터를 추가해 강화시켜 보려고 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공부한 문병로 교수님의 52주 신고가 관련 칼럼에서 힌트를 얻었다. 문병로 교수 칼
quanstory.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_ _ )
'Genport 전략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젠포트 전략 연구 16. 저평가(PSR, POR, PER) 및 성장주 팩터 조합하기 (0) | 2023.07.11 |
---|---|
젠포트 전략 연구 15. 거래량 이용한 단타 전략 (0) | 2023.06.28 |
젠포트 전략 연구 13-3. 신고가 전략 PBR로 강화시키기 (0) | 2023.06.17 |
젠포트 전략 연구 13-2. 신고가 돌파 종목 매수 전략2 (0) | 2023.06.06 |
젠포트 전략 연구 13-1. 신고가 돌파 종목 매수 전략 (0)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