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OA 5

젠포트 전략 연구 17‐2. 마법공식에 부채비율 팩터로 안정성 더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 본 마법공식은 예상보다 강력한 전략이었다. 소형주를 대상으로 ROA(총자산수익률) 와 PER(이익수익률)을 조합하는 마법공식으로 투자했을 때, 최근 6년 6개월간 원금이 10배가 되는 백테스트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마법공식(ROA + PER)에 부채비율을 함께 반영해보면 어떨까. ROA는 자기자본 대비 수익률을 나타내는 ROE와 달리 총자산(자본+부채) 대비 수익률을 나타낸다. 부채가 반영되어 있는 지표이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부채가 과도할 경우 기업의 수익률에도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불안요소다. 특히, 최근처럼 금리가 높은 시기에는 이자보상배율이 1이 되지 않는 기업이 종종 생겨난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ROE, ROA, ROIC 중 수익률이 가장 높은 팩터는?

마법공식으로 ROE, ROA, ROIC 비교해 보기 지난 포스팅에서 자본 및 자산 대비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인 ROE, ROA, ROIC 의 개념정리를 해보고 재무제표에서 직접 산출해 보는 법도 알아보았다. 마법공식에서는 ROA(총 자산이익률)를 이용하였는데, 결이 비슷한 이 세 지표 중에서는 어떤 지표가 가장 높은 백테스트 수익률을 보여줄지 궁금하다. 그래서 이번에는 마법공식을 이용하되 ROA(총자산이익률)를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IC(투하자본이익률)로 각각 대체하여 백테스트 해보려고 한다. ■ 설정_ ROA를 이용한 마법공식에 ROE, ROIC 대체하기 마법공식에서는 ROA와 PER 두 가지 팩터만을 이용하였다. 적용한 팩터의 우선순위식은 다음과 같다. 순위내림차순({분기ROA})+순위오름차..

퀀트 투자 2023.07.18

ROE, ROA, ROIC 개념 정리 및 재무제표에서 확인하기

ROE, ROA, ROIC 란. 마법공식에 대해 공부한 이전 포스팅에서 자산수익률 지표인 ROA를 이용한 바 있다. 이렇게 회사의 투입자금 대비 수익률을 확인하는 지표로 ROE, ROA가 퀀트투자에 많이 쓰인다. 기업의 수익창출 능력을 알 수 있는 지표인 ROE, ROA에 대해 정리해 보고, 이보다 더 구체적(기업의 영업능력을 확인하는데) 지표인 ROIC 까지도 알아보자. 1. ROE(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 비율 ☞ 순수 내 자본 투입 기준으로 얼마나 벌고 있는가.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워런 버핏은 ROE가 15%가 되지 않는 기업에는 투자하지 말라고 한 바 있음. - 부채가 고려되지 않은 지표이기 때문에 많은 부채를 이용해 ..

퀀트 투자 2023.07.17

젠포트 전략 연구 17. 마법공식(ROA + PER) 전략 백테스트

이전 포스팅에서 공부한 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을 백테스트 해보자. 마법공식은 1988년부터 2004년까지 16년간 연평균 30.8%의 수익률을 보여주었다. 이 놀라운 수익률이 지금까지도 유효한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적용하기 편한 마법공식으로 총자산수익률(ROA)과 주가수익률(PER) 두가지 지표를 이용할 수 있었는데, 이 지표를 그대로 사용해 젠포트로 백테스트 해보자. 아울러, 마법공식 투자법에서는 7-8개 종목을 3개월마다 추가로 매수한 후 3개월 단위로 매도, 매수를 반복하는 방식이었는데, 이번 백테스트에서는 한번에 20개 종목을 산 후 3개월 정도 보유 후 매매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자세한 것은 아래 설정을 참고하자. ■ 설정_ ROA 와 PER 을 이용한 마법공식 전략 매수 및 매도 가격 매수..

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_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

조엘 그린브라트의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에는 "마법공식"이라는 전략이 소개되어 있다. 이 마법공식이란 것의 밑바탕은 '우량한 기업을 싼 가격에 산다'는 것으로 가치투자에 기반한다고 하지만, 투자방법에 있어서는 퀀트 투자의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이익수익률과 자본수익률 두 가지의 기준만 투자에 이용하는 마법공식에 대해 알아보자. 마법공식으로 투자하는 방법은 매우 단순한 편이다. 전체 종목을 대상으로 이익수익률이 높은 순으로 줄을 세워 등수를 매기고, 자본수익률이 높은 순으로 등수를 매긴 후 둘의 등수를 더한다. 더한 등수가 가장 낮은 수부터 20개~30개의 종목을 사서 투자한다. 이 방법으로 1988년부터 2004년까지 꾸준히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을 전체 주가지수와 비교하면 아래 표와 같다. 놀랍게..

퀀트 투자 2023.07.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