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공식으로 ROE, ROA, ROIC 비교해 보기
지난 포스팅에서 자본 및 자산 대비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인 ROE, ROA, ROIC 의 개념정리를 해보고
재무제표에서 직접 산출해 보는 법도 알아보았다.
마법공식에서는 ROA(총 자산이익률)를 이용하였는데, 결이 비슷한 이 세 지표 중에서는 어떤 지표가 가장 높은
백테스트 수익률을 보여줄지 궁금하다.
그래서 이번에는 마법공식을 이용하되 ROA(총자산이익률)를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IC(투하자본이익률)로
각각 대체하여 백테스트 해보려고 한다.
■ 설정_ ROA를 이용한 마법공식에 ROE, ROIC 대체하기
마법공식에서는 ROA와 PER 두 가지 팩터만을 이용하였다. 적용한 팩터의 우선순위식은 다음과 같다.
순위내림차순({분기ROA})+순위오름차순({주가수익률(PER)})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되, 우선순위식에서 ROA 대신 ROE와 ROIC를 대입했다.
자세한 조건 및 비교식은 아래표와 같다.
■ 결과
• 백테스트(틱) 기간 : 2017.1.2~2023.7.14(6년6개월) • 수수료율 : 0.015%
백테스트 결과 누적수익률은, ROA를 이용한 포트 919.93%, ROE 882.19%, ROIC 858.2%였다.
역시 결이 비슷한 팩터라 그런지 세 팩터의 누적수익률은 비슷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세 포트의 변동성도 매우 비슷함을 알 수 있다.
그래프로 비교해 보면 21년까지는 ROE의 수익률이 다른 포트에 비해 꾸준히 높았는데 22년 이후로는 ROA의
수익률이 ROE와 ROIC를 모두 제치고 올라왔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6년 넘은 백테스트 기간 동안 세 팩터 간에 상대적으로
더 우월하다고 할만한 결과를 볼 수 없었다는 것이다.
아래표로 본 세 팩터 간의 매매종목의 일치성에서는 21~37%의 일치성을 보였다.
이는 팩터 조합이 두 가지로 단순하기 때문도 있겠지만 자산과 자본 팩터의 결이 비슷한 이유도 있는 것 같다.
결론적으로 상관성이 비슷한 포트이기 때문에 두 가지를 운용하기엔 적합하지 않다.
마법공식을 활용해 ROE, ROA, ROIC 각각의 백테스트로 수익률을 비교해 보았다.
21년까지는 ROE가 꾸준히 높은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후로는 ROA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었다.
21년 초까지 ROA는 세 팩터 가운데 가장 수익률이 저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성과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세 팩터 모두 수익률을 내는 데에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세 팩터 간의 수익률은
엎치락뒤치락하며 차이는 거의 없어, ROE, ROA, ROIC 중 무엇이 더 뛰어나다고 하긴 어려울 것 같다.
물론 팩터란 어떤 다른 팩터와 조합하냐에 따라 그 시너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팩터는
단편적인 결과로 유효성을 단정 지어서는 안 된다.
동일한 조건상에서 팩터만 변화를 주어 비교한 결과는 단지 그 조건에서의 결과로만 판단하면 된다.
ROE, ROA, ROIC 개념 정리 및 재무제표에서 확인하기
ROE, ROA, ROIC 란. 마법공식에 대해 공부한 이전 포스팅에서 자산수익률 지표인 ROA를 이용한 바 있다. 이렇게 회사의 투입자금 대비 수익률을 확인하는 지표로 ROE, ROA가 퀀트투자에 많이 쓰인다. 기
quanstory.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 _ )
'퀀트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린저밴드 활용법(1)_ 문병로 교수 칼럼 정리 (0) | 2023.07.23 |
---|---|
PBR, PER, POR, PSR 개념 정리 및 재무제표에서 확인하기 (0) | 2023.07.20 |
ROE, ROA, ROIC 개념 정리 및 재무제표에서 확인하기 (0) | 2023.07.17 |
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_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 (0) | 2023.07.15 |
[실전 퀀트투자]_국내 퀀트 기본 지침서 (0)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