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 투자

볼린저밴드 활용법(1)_ 문병로 교수 칼럼 정리

퀀퀸 2023. 7. 23. 20:32
반응형

 


국내 주식의 계량분석으로 유명한 문병로 교수님의 칼럼 몇 가지를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해 보았다.

시장에 넘쳐나는 보조지표들 중에는 알려진 것과 달리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는 것들이 많았다.

앞서 다룬 골든크로스나 정배열 신호도 개별종목 자체에서는 유효한 신호가 아니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볼린저 밴드의 유효성에 대해 다룬 칼럼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볼린저밴드란

볼린저밴드는 미국의 재무분석가 존 볼린저가 1980년대에 개발한 보조지표로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주가가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준다.

MTS 차트에서 볼린저밴드를 설정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타나며 매수, 매도 신호도 함께 표시해 보았다.

 

 

볼린저밴드는 3개의 선으로 구성되는데, 중간선(20일 이동평균)을 중심으로 상단선, 하단선으로 나타나며

기본으로 설정되는 식은 아래와 같다.

  • 상단선 = 20일 이동평균선 + 표준편차×2

  • 하단선 = 20일 이동평균선 - 표준편차×2

볼린저 밴드 내에서 주가는 정규분포에 근거해 이 영역 안에서 움직일 확률이 95%라고 보는 것이다.

볼린저 밴드는 주로 과매수, 과매도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고, 데이 트레이딩 기준으로 볼 때

주가가 상단선에 닿으면 매도신호, 주가가 하단선에 닿으면 매수신호로 본다.

 

하지만 볼린저밴드에서 상승, 하락 추세의 시작으로 보는 더 중요한 매수, 매도 신호는 이것이다.

볼린저밴드 이내에서 움직일 95%의 확률을 벗어나 상단선이나 하단선을 이탈하는 예외적인

현상이 나타날 경우, 이전의 확률적 움직임을 벗어나 상승이나 하락 추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즉, 아래 그림과 같이 상단선을 완전히 뚫고 상승할 경우 추세가 시작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문병로 교수님의 볼린저 밴드의 통계과 관련해 낸 칼럼을 정리해 보자.

 

 

볼린저밴드 8% 미만때 저항선 돌파하면 6개월 뒤 오를 확률 12%P 높아

볼린저밴드 8% 미만때 저항선 돌파하면 6개월 뒤 오를 확률 12%P 높아, 문병로 교수의 거꾸로 증시 이론 (9) 볼린저밴드 활용법 일반적인 상단 돌파땐 상승확률 높지 않아 하단 이탈때도 영향 미미

www.hankyung.com

 

 

1. 볼린저밴드 상단선을 이탈한 종목이 일정기간 후 상승해 있을 확률

   1주일 후 44.4%, 3주일 후 46.8%, 6개월 후 46.5%

    ☞ 시장평균과 비교해 주목할 만한 차이 없음

 

2. 볼린저밴드 하단선을 이탈한 종목이 일정기간 후 하락해 있을 확률

    1주일 후 46.7%, 3주일 후 47.0%, 6개월 후 53.8%

    ☞ 시장평균보다 하락 확률이 낮거나 큰 차이 없음

 

3. 밴드 상단과 하단의 폭이 좁으면(8% 미만 시) 의미가 생긴다.

    상단선 돌파 1주일 후 주가 상승 확률 49.4% ▶ 평균 대비 3.1%p 높음

    상단선 돌파 3주일 후 주가 상승 확률 53.6% ▶ 평균 대비 7%p 높음

    상단선 돌파 6개월 후 주가 상승 확률 57.1% ▶ 평균 대비 11.9%p 높음

 

4. 폭이 좁은 상태에서의 하단 이탈은 의미가 없었다.

 

 

칼럼에서 볼린저밴드와 관련한 결론은 매우 간결하다. 

볼린저밴드의 폭이 8% 이하로 좁은 상태에서 상단선 이탈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주가의 상승 확률이

평균보다 높았다는 것이다. 

주가의 변동성이 크면 볼린저 밴드 폭도 함께 커진다.

볼린저 밴드의 폭이 좁다는 것은 중장기간 큰 변동성 없이 잔잔한 조정을 받거나 완만한 상승을 이어가던

종목일 것이다.  어느 정도 변동성을 이겨내고 안정성이 확보된 종목이 시장의 관심을 받을 때 상승의 힘을

제대로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번에 공부한 볼린저 밴드의 결론을 젠포트에서 검증해 보아야겠다. 

 

 

문병로 교수의 볼린저밴드 통계적 결과 검증 ↓

 

볼린저 밴드 활용법(2)_ 백테스트로 검증하기

볼린저밴드 실제로 수익률에 도움을 줄까 이전 포스팅에서 문병로 교수님의 칼럼을 통해 "볼린저 밴드"의 통계적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론은 간단했는데, 볼린저 밴드의 폭이 8% 이내인

quanstory.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 _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