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 투자

PBR, PER, POR, PSR 개념 정리 및 재무제표에서 확인하기

퀀퀸 2023. 7. 20. 05:51
반응형

PBR, PER, POR, PSR 이란.

 

이 네 재무지표는 퀀트투자자뿐만 아니라 주식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지표다.

기업의 재무제표 상의 자본,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대비 현재 주가의 고평가 또는 저평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주식은 장기적으로 기업의 재무 상황과 별개로 움직일 수 없다.

때문에 최소한 이 정도 지표는 기본적으로 공부하고 주식투자에 뛰어들어야 한다.

PBR, PER, POR, PSR에 대해 정리해 보고 재무제표에서 이들 지표를 구하는 법도 알아보자.

 

 

1. PBR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기업의 순자산 대비 주가 ☞ 주가가 주당 순자산 대비 몇 배인가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 (총자산-총부채)

- 기업의 재무상태면에서의 주가 판단 지표

- PBR이 낮으면 저평가, 놓으면 고평가 되어 있다고 평가함

- PBR이 1 이하라는 것은 주가가 회사의 청산가치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는 뜻임

- 국내 전체 주식의 역사적 평균 PBR은 1.1배다. 이를 기준으로 투자 시 매수, 매도 시점을 정하기도 함

 

 

2. 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기업의 순이익 대비 주가 ☞ 주가가 주당 순이익 대비 몇 배인가

    PER = 주가 / 주당 당기순이익

- 기업의 수익성면에서의 주가 판단 지표

- PER이 낮으면 저평가, 놓으면 고평가 되어 있다고 평가함

- 기술주 등 미래가치가 높다고 생각되는 주식은 PER이 매우 높게 형성되기도 함

- 국내주식의 경우 평균적으로 10~20 정도의 수치이나, 성장성과 관련 없는 기업의 경우 5~10,

   성장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기업의 경우 30~200 이상이 되기도 함

 

 

3. POR (Price to Operating-income Ratio) : 주가영업이익비율

     기업의 영업이익 대비 주가 ☞ 주가가 주당 영업이익 대비 몇 배인가

    POR = 주가 / 주당 영업이익

- 기업의 영업이익면에서의 주가 판단 지표

- POR이 낮으면 저평가, 놓으면 고평가 되어 있다고 평가함

- 이전 포스팅에서 분위 분석한 결과 퀀트적 관점에서 유의미성은 있으나 네 지표 중에서는 유효성이 가장 떨어짐

 

 

4. PSR (Price Selling Ratio) : 주가매출비율

     기업의 매출액 대비 주가 ☞ 주가가 주당 매출액 대비 몇 배인가

    PSR = 주가 / 주당 매출액

- 기업의 매출면에서의 주가 판단 지표

- PSR이 낮으면 저평가, 놓으면 고평가 되어 있다고 평가함

- 켄 피셔가 투자 시 이용한다는 지표로 PSR 0.75 미만의 기업에 투자한다고 함

 

 

재무제표에서 직접 관련 재무수치를 확인하고 지표를 구해보자.

 

위 지표는 MTS나 네이버증권 등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굳이 재무제표에서 찾아서 해보는 이유는 이 수치가 어디서 오는 것인지 한 번쯤은 제대로

알아보고 숙지하기 위함이다. 

 

아래 재무제표는 <한미글로벌>이라는 기업의 23년 1분기 사업보고서를 전자공시 시스템에서

가져온 것이다. (MTS에서 PER이 10~15인 기업 중 무작위로 고른 것으로 투자 권유는 절대 아님)

위 네 가지 지표를 구하는데 필요한 과목은 자본(PBR), 순이익(PER), 영업이익(POR), 매출액(PSR)이다.

추가로 주식의 총발행수와 현재의 주가가 필요하다.

이를 찾아 각 지표를 구해보자.

 

재무제표에서 확인한 주식의 총 수는 10,957,550 주이며, 현재(23.7.19 기준) 주가는 29,200원이다.

 

 

1. PBR (주가순자산비율)

    순자산(자본)은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것으로 재무제표상의 재무상태표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

             = 주가 / (순자산/총발행 주식수)

             = 29,200 / (196,258,960,344/10,957,550) = 1.63

 

 

2. PER (주가수익비율)

순이익은 재무제표상의 손익계산서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아래표 빨간박스).

단, 분기 재무제표를 볼 때 순이익은 한 분기의 이익만 반영하므로 4를 곱해 연수익으로 만들어주어야 한다.

 

PER = 주가 / 주당 당기순이익

        = 주가 / ((당기순이익/총발행 주식수)×4)

        = 29,200 / ((6,216,299,134/10,957,550)×4) = 12.9

 

 

3. POR (주가영업이익비율)

영업이익 또한 재무제표상의 손익계산서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위표 파란박스)

마찬가지로 분기 재무제표를 볼 때 영업이익은 한 분기의 이익만 반영하므로 4를 곱해 연수익으로 만들어주어야 한다.

 

POR = 주가 / 주당 영업이익

         = 주가 / ((영업이익/총발행 주식수)×4)

         = 29,200 / ((6,762,888,722/10,957,550)×4) = 11.8

 

 

4. PSR (주가매출액비율)

매출액도 재무제표상의 손익계산서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위표 초록박스)

매출액 또한 4를 곱해 연매출액으로 만들어 계산한다.

 

PSR = 주가 / 주당 매출액

         = 주가 / ((매출액/총발행 주식수)×4)

         = 29,200 / ((100,476,614,190/10,957,550)×4) = 0.79

 

 

 PBR, PER, POR, PSR 개념정리를 해보고 재무제표에서 직접 도출해 보았다.

이 네 지표의  퀀트적 관점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이미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바 있으니 참고하시길.

 

 

 

PBR, PER, POR, PCR 중 한국증시에서 가장 유효한 재무 지표는?

한국 최초의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을 개발했다는 문병로 교수님은 본인의 책 [매트릭스튜디오]에서 많은 투자 지표(PER, PBR, PSR 등) 중 한국 주식시장에서 정보가치가 가장 크다고 증명된 지

quanstory.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 _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