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 투자

ROE, ROA, ROIC 개념 정리 및 재무제표에서 확인하기

퀀퀸 2023. 7. 17. 22:16
반응형

 


ROE, ROA, ROIC 란.

마법공식에 대해 공부한 이전 포스팅에서 자산수익률 지표인 ROA를 이용한 바 있다.

이렇게 회사의 투입자금 대비 수익률을 확인하는 지표로 ROE, ROA가 퀀트투자에 많이 쓰인다.

기업의 수익창출 능력을 알 수 있는 지표인 ROE, ROA에 대해 정리해 보고,

이보다 더 구체적(기업의 영업능력을 확인하는데) 지표인 ROIC 까지도 알아보자.

 

 

1. ROE(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 비율 ☞ 순수 내 자본 투입 기준으로 얼마나 벌고 있는가.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워런 버핏은 ROE가 15%가 되지 않는 기업에는 투자하지 말라고 한 바 있음.

- 부채가 고려되지 않은 지표이기 때문에 많은 부채를 이용해 수익을 내는 기업을 걸러내지 못함.

   부채비율을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함.

 

 

2. ROA(Return On Assets) : 총자산이익률

     총 자산 대비 순이익 비율 ☞ 총자산 투입 기준으로 얼마나 벌고 있는가.

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총자산 : 자기자본 + 부채

- 부채를 함께 고려하고 있어, 레버리지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 자기자본이 적은 기업이 과도한 부채로 이익을 내고 있지 않은지 ROE와 비교하며 체크해야 함.

   ROA와 ROE의 갭이 크다면 부채가 많은 회사라는 뜻.

 

 

3. ROIC (Return On Invested Capital) : 투하자본 이익률

    운영에 투입한 투하 자본 대비 회사의 세후 영업이익 비율 ☞ 영업에 투자한 투자비용 대비 이익비율

ROIC = (세후영업이익* / 투하자본*) × 100

*세후 영업이익 : 영업이익 - 세금(법인세)

*투하자본 : 유형자산 + 운전자본

                   (운전자본= 매출채권+재고자산-매입채무)

- 생산 및 영업활동에 직접적으로 투입된 투자자금만 고려되어 있어, 순수 영업 효율성을 알 수 있는 지표.

- 순이익이 고려된 ROE, ROA와 다르게 영업이익이 고려됨.

- 기업의 자산 등과 상관없이 사업 자체의 수익성을 알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지표라 할 수 있음.

- ROIC가 ROE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온다면 기업의 돈이 영업과 무관한 곳에 쓰이고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재무제표에서 직접 적용해 수치를 구해보자.

아래 재무제표는 <진성티이씨> 라는 기업의 22년 사업보고서를 전자공시에서 가져온 것이다.

(MTS에서 ROE가 높은 기업을 랜덤으로 고른 것으로, 투자 권유는 절대 아님을 알려둠)

 

재무제표에서 나타난 영업이익은 663억원, 당기순이익은 454억원이다. 

이를 활용해 ROE 와 ROA, ROIC 를 구해보자.

 

 

1. ROE (자기자본이익률)

     재무제표상에서 자본총계는 2095억이다. 순이익과 자본을 아래식에 대입하면 ROE를 구할 수 있다.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454억 / 2095억) × 100 = 21.7%

 

 

 

2. ROA (총자산이익률) 

     재무제표상에서 자산총계는 4027억원으로, 순이익과 자산을 아래식에 대입하면 ROA를 구할 수 있다.

     

      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454억 / 4027억) × 100 = 11.3%

 

 

 

3. ROIC (투하자본이익률)

투하자본은 유형자산+운전자본으로 계산되며, 운전자본은 사업활동을 유지하는 데 관련된 자본으로 

'운전자본= 매출채권+재고자산-매입채무'로 계산된다. 

세후영업이익(NOPAT)은 영업이익에서 세금(법인세)를 뺀 것인데, 법인세는 비용구조, 이익규모, 공제, 

감면금액 등을 고려해 부과되므로 계산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대략 22%를 적용한다고 하니

이 방식대로 해보겠다.

재무제표에서 영업이익은 물론, 매출채권, 재고자산, 매입채무를 찾을 수 있다(아래, 위 표의 파란색 박스).

 

    ROIC = (세후영업이익* / 투하자본*) × 100

               = (영업이익 × 78%) / (유형자산+매출채권+재고자산-매입채무) × 100

               =  {(663억×0.78) / ( 947억+1190억+1292억-614)} × 100 = 18.4%

 

 

 

나도 한 번씩 헷갈리던 ROE, ROA, ROIC를 정리해 보았다.

다음에는 퀀트투자 지표로서 어떤 것이 가장 큰 유효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아야 하겠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 _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