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선행지수 3

경기순환시계(23년 5월)_7월 발표

통계청에서 오늘 업데이트한 23년 5월 기준 경기순환시계로 본 경기동향을 살펴보자. 경기는 상승-둔화-하강-회복의 국면으로 반복되는데, 주요 경제지표 10개의 경기순환 국면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 경기순환시계다. 이번에 발표된 경기순환시계를 보자. 23년 5월 기준, 상승과 회복 국면상에 있는 지표가 6개, 둔화와 하강 국면상에 있는 지표는 4개다. 전월과 비교하면 수출액이 회복 ▶ 상승 국면으로, 소매판매지수가 회복 ▶ 하강 국면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가 하강 ▶ 회복 국면으로 이동했고, 그 외는 국면상의 변화는 없었다. 경기순환시계에 나타나는 지표는 아래 6개의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1. 생산 부문 지수 : 광공업 생산 지수, 서비스업 생산 지수 2. 소비 부문 지수 : 소비판매 지수 3...

경제지표 Check 2023.07.10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23년 4월)_5월 발표

주식 투자자라면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방향 전환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경기선행지수란 앞으로의 경기동향을 예측하는 지표이다. 이 선행지수는 경기순환에 앞서 변동하는 7개 구성지표(재고순환지표, 경제심리지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건설수주액, 수출입물가비 quanstory.tistory.com 23년 4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통계청에서 이번에 발표한 23년 4월 산업활동동향에서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를 살펴보자. 그래프를 보면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1년 6월부터 계속 하락하고 있다. 아쉽게도 이번에 발표된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98.2에서 98.0으로 0.2포인트 하락했다. 선행지수를 구성하는 7개 지표의 증감률을 살펴보자. ..

경제지표 Check 2023.06.03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코스피 상관관계

경기선행지수란 앞으로의 경기동향을 예측하는 지표이다. 이 선행지수는 경기순환에 앞서 변동하는 7개 구성지표(재고순환지표, 경제심리지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건설수주액, 수출입물가비율, 코스피, 장단기금리차)를 종합해 만든 것이다. 이 구성지표는 유용성 측면의 판단에 따라 변경되기도 한다.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란 선행지수에서 추세변동분을 제거한 지표를 말하며, 향후 경기 국면 몇 전환점 예측에 이용된다. 이 지표는 매달 통계청에 발표되고 아래 e-나라지표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57 그렇다면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코스피 지수와 얼마나 비슷하게 움직이는지 살펴보자. 왜 주..

매크로 투자 2023.05.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