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Check

경기순환시계(23년 5월)_7월 발표

퀀퀸 2023. 7. 10. 21:12
반응형

 


 

통계청에서 오늘 업데이트한 23년 5월 기준 경기순환시계로 본 경기동향을 살펴보자.

 경기는 상승-둔화-하강-회복의 국면으로 반복되는데, 주요 경제지표 10개의 경기순환 국면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 경기순환시계다.

이번에 발표된 경기순환시계를 보자.

 

 

 

23년 5월 기준, 상승과 회복 국면상에 있는 지표가 6개, 둔화와 하강 국면상에 있는 지표는 4개다.

전월과 비교하면 수출액회복  상승 국면으로, 소매판매지수회복 ▶ 하강 국면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하강  회복 국면으로 이동했고, 그 외는 국면상의 변화는 없었다.

 

경기순환시계에 나타나는 지표는 아래 6개의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1. 생산 부문 지수 : 광공업 생산 지수, 서비스업 생산 지수

    2. 소비 부문 지수 : 소비판매 지수

    3. 투자 부문 지수 : 설비투자 지수, 건설기성 지수

    4. 대외 부문 지수 : 수출 지수, 수입 지수

    5. 고용 부문 지수 : 취업자수 지수

    6. 심리 부문 지수 : 기업경기실사 지수, 소비자기대 지수

 

 

개별지표별로 최근 2년간의 동향 및 경기순환시계상의 위치 변화를 살펴보자.

 

 광공업 생산 : 21'5월 둔화 ▶ 21'6월 상승 ▶ 22'3월 둔화 ▶ 22'9월 하강 ▶ 23'3월~ 회복

 

② 서비스업 생산 : 21'5월 회복 ▶ 22'2월 상승 ▶ 22'9월~ 둔화

 

③ 소매판매 : 21'5 상승 ▶ 21'10월 둔화 ▶ 22'7월 하강 ▶ 23'2월 회복 ▶ 23'4월~ 하강

 

④ 설비투자 : 21'5월 둔화 ▶ 22'1월 하강 ▶ 22'4월 회복 ▶ 22'5월 상승 ▶ 22'10월 둔화 ▶ 23'1월~ 하강

 

⑤ 건설기성 : 21'5월 하강 ▶ 21'8월 회복 ▶ 22'2월 하강 ▶ 22'4월 회복 ▶ 22'10월~ 상승

 

⑥ 수출액 : 21'5월 둔화 ▶ 21'8월 상승 ▶ 22'3월 둔화 ▶ 22'9월 하강 ▶ 23'1월 회복 ▶ 22'5월~ 상승

 

⑦ 수입액 : 21'5월 둔화 ▶ 21'8월 상승 ▶ 22'1월 둔화 ▶ 22'4월 상승 ▶ 22'9월 둔화 ▶ 23'2월~ 하강

 

⑧ 취업자수 : 21'5월 회복 ▶ 21'12월 상승 ▶ 22'6월 둔화 ▶ 23'1월~ 상승

 

⑨ 경기기업실사지수 : 21'5월 상승 ▶ 21'8월 둔화 ▶ 22'8월 하강 ▶ 23'4~ 회복

 

 

⑩ 소비자기대지수 : 21'5월 상승 ▶ 21'8월 둔화 ▶ 22'3월 하강 ▶ 22'12월~ 회복

 

 

 

경기순환시계 상에 표시되는 지표들은 현재의 경기를 반영하는 경기동행지수 및 

미래의 경기를 예측하는 경기선행지수에 이용된다.

주식투자를 한다면 경기선행지수를 체크해야 하는데, 이 지표들 중 기업경기실사지수, 소비자기대지수,

설비투자 지수, 수출입지수경기선행지수에 이용되는 지표다.

최근 발표된 경기순환시계에서는 기업경기실사지수회복 국면으로, 수출지수상승 국면으로

이동하면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 최근 한국 무역수지는 16개월 만에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수출대비 수입액이 크게 줄며 나타난 흑자라

경기가 완전히 회복 국면으로 돌아섰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었다.

또한 최근 5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과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투자 부분에서는 하락이 큰 모습이었다.

(경기순환시계 상에서 보아도 설비투자 지수는 아직 하강 국면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수출액이 의미있게 늘어나 무역수지가 질 좋은 개선을 보이고 기업의 설비투자도 회복 국면으로 넘어가야 경기가

전반적인 회복국면에 들어서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23년 5월)_6월 발표

23년 5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통계청에서 오늘 발표한 23년 5월 산업활동동향에서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를 살펴보자. 그래프를 보면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1년 6월부터 계속 하락하는

quanstory.tistory.com

 

 

한국 무역수지 및 수출입동향 (23년 6월)_7월 발표

오늘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23년 6월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자. 결론부터 보자면 6월 무역수지는 11.3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22년 1월 이후 16개월 만에 흑자를 기록하며 그간의

quanstory.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 _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