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 투자

코스피 PBR의 의미와 수치 찾아보기

퀀퀸 2023. 8. 4. 06:43
반응형

 


코스피의 PBR

코스피의 PER은 모든 코스피 기업의 순이익 대비 시가총액을, PBR은 모든 기업의 자산 대비 시가총액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코스피는 PER 10~15배 사이에서, PBR 0.8~1.1 사이에서 움직인다고 본다.

이 수치보다 낮으면 과하게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높으면 과하게 고평가 되었다고 판단한다.

 

코스피 PBR 찾아보기

코스피 PER과 PBR은 한국거래소(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서 아래와 같이 찾아볼 수 있다.

 

① 주가지수 - PER/PBR/배당수익률을 클릭한다.

 

 

② 개별지수 체크 후 "KOSPI" - "코스피" 를 검색한다.

 

 

③ 원하는 조회기간별 코스피의 PBR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코스피 고점과 저점에서의 코스피 PBR 확인하기

최근 코스피의 저점은 22년 9월 30일로 주가지수는 2,135원, 고점은 21년 6월 25일로 주가지수는 3,316원이다.

코로나 시기의 저점은 20년 3월 19일로 주가지수는  1,439원이었다.

 

 

 

그러면 이 세 시점에서 코스피의 PBR 수치를 확인해보자.

전저점인 22년 9월 30일의 코스피 PBR은 0.83 이었다. 역대 평균 대비 저점으로 인식되는 수치다.

 

 

반면, 전고점인 21넌 6월 25일의 코스피 PBR은 무려 1.3 이었다. 고점으로 인식되는 수치를 넘어섰다.

 

코로나로 주가가 곤두박질 쳤던 20년 3월 19일 코스피 PBR은 0.59 였다.

저점으로 인식되는 수치에 비해서도 한참 낮은 수치다.

 

 

코스피 지수의 PBR을 찾는 법과 최근 전저점 및 전고점 때 PBR 수치도 알아보았다.

물론, 코스피의 PBR이 모든 주식의 매수, 매도 시점을 말해주진 않는다.

개별주식은 펀더멘탈이 각각 다르고 코스피의 방향과 다르게 움직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다만 어떤 전문가들은 단순하게 코스피의 PBR이 0.8 이라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주식투자를 시작하라고

말한다. 또한 코스피 PBR이 1.1 이상이라먼 경계하라고 말한다.

실제로 코로나 이후 1.3 까지 치솟았던 코스피 PBR은 0.8 까지 내려온 후에야 다시 상승하고 있다.

시장이 식을만큼 식은 시점과 과열된 시점을 구분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다.

 

참고로 현재 시점의 코스피 PBR은 0.95 다.

 

 

 

최근(23.10.26) 코스피 PBR 확인하기

 

지금 다시 코스피 PBR 저점 왔나

지난 3년간 코스피 최저치를 찍은 날은 22년 9월 30일로 코스피 지수는 2,155원이고 코스피 PBR은 0.83 이었다. 이후 약1년동안 오름세를 보이다 23년 6월5일에 2,615원으로 PBR은 이틀간 1.00을 찍었다. 23

quanstory.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 _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