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11

경기순환시계(23년 7월)_9월 발표

경기순환시계란, 주요경제지표 10개의 경기순환국면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경기는 "상승-둔화-하강-회복"의 국면으로 반복된다. 경기순환시계에 나타나는 지표는 6개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1. 생산 부문 지수 : 광공업 생산지수, 서비스업 생산지수 2. 소비 부문 지수 : 소비 판매지수 3. 투자 부문 지수 : 설비투자지수, 건성기성액 4. 대외 부문 지수 : 수출지수, 수입지수 5. 고용 부문 지수 : 취업자수 지수 6. 심리 부문 지수 : 기업경기실사지수, 소비자기대지수 통계청에서 발표한 23년 7월 경기순환시계로 경기동향을 살펴보자. 23년 7월 기준, 상승과 회복 국면에 있는 지표가 5가지, 둔화와 하강 국면에 있는 지표가 5가지다. 전월과 비교하면 설비투자지수와 기업경기실사지수가 회..

경제지표 Check 2023.09.19

ISM 제조업 구매자 관리지수(PMI)_23년 8월

23년 8월 미국의 ISM 구매관리자 지수, 즉 PMI는 47.6%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 대비 1.2%p 오른 수치이며 예측보다도 0.6% 높은 수치다. PMI 지수는 통상 50 위 일때 경기 확장국면, 50 아래 일때 경기 위축국면으로 보는데, PMI는 10개월째 50 이하에 머무르고 있어 경기위축 국면의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 지표를 이루는 각각의 항목을 살펴보자. 7월에는 고용과 신규수출을 제외한 모든 부문의 수치가 증가세였지만, 8월에는 고용과 신규수출이 증가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신규주문, 재고, 수출지수가 하락으로 전환했다. 또한 모든 구성지표에서 50을 하회하고 있어 여전히 경기 확장국면으로 들어서긴 멀..

경제지표 Check 2023.09.10

한국 무역수지 및 수출입 동향(23년 8월)_9월 발표

산업통상부에서 발표한 23년 8월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자. 23년 8월 수출액은 8.4% 감소, 수입액은 22.8% 감소해 무역수지는 8.7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6월(+11.5억 달러), 7월(+16.5억 달러)에 이어 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수출액 수출액은 전년 대비 8.4% 감소해 519억불을 기록했다. 이전 달인 7월에는 6월 대비 수출 감소폭이 커졌지만(-6.0% → -16.4%) 8월엔 7월 대비 수출 감소폭이 다시 축소되었다(-16.4% → -8.4%) 수입액 수입액은 전년 대비 22.8% 감소해 510억불을 기록했는데, 최근 몇달에 비해 감소폭이 크게 확대되었다. 에너지 수입의 감소로 수입액은 큰 수치의 감소폭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수출 감소폭에 비해 수입액의 ..

경제지표 Check 2023.09.02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23년 7월)_8월 발표

23년 7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금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에서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를 확인해 보니, 23년 5월 반등한 이후 두 달 연속 상승하고 있다. 이번 발표된 수치는 99.3으로 전월 대비 0.4% p 오른 수치다. 그래프로 보면 5월 이후 상승세로 돌아서서 연속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행지표를 구성하는 7가지 지표의 증감룰은 아래 표와 같다. 지표별 변화를 살펴보면, 건설수주액 1개 지표를 제외한 6개 지표가 모두 전월 대비 상승했다. 6월 상승(+) 수치였던 건설수주액은 감소(-) 수치로 나왔고, 장단기 금리차는 전월 감소(-) 수치였지만 7월에 상승(+)으로 변화했다. 에서 확인 가능한 구성지표 두 가지만 세부내용을 살펴보자. 재고순환지표 전년 동월대비 출하 증가율과 재고 증가율..

경제지표 Check 2023.08.31

미국 주식 재무제표 확인

미국 주식에 투자한다면 당연히 투자하고자하는 회사의 재무제표를 확인해야할 것이다. 미국 상장회사의 공시정보는 EDGA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EDGAR는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가 운영하는 웹사이트로 상장회사의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다. 웹사이트 : https://www.sec.gov/edgar/searchedgar/companysearch SEC.gov | EDGAR | Company Filings Modified: April 6, 2023 www.sec.gov 위 웹사이트에서 찾고자하는 회사의 티커를 검색하면 된다. 애플 회사 티커 AAPL을 검색해보자. 해당 회사의 연간보고서(10-K), 분기보고서(10-Q), 최근보고서(8-K) 등이 조회된다. 최근 분기보고서(10-Q)를 열어보자. 아래와 ..

퀀트 투자 2023.08.27

23년 8월 한국 통화정책 방향(기준금리 결정)

8월 24일 발표된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을 살펴보자. 한국은행은 23년 8월에도 기준금리의 변동없이 현수준(3.5%)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올해 1월 금리를 3.5%로 올린 후 지금까지 금리 동결을 이어가고 있다. 기준금리를 현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한 배경 1. 물가상승률이 8월 이후 다시 3% 내외로 높아지는 등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됨 2. 주요국의 통화 정책 및 경기의 불확실성 3. 가계부채 흐름의 점검 필요 세계 경제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낮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 주요국의 국채 금리 상승 및 달러화 강세 중국의 회복세 약화 국내 경제 소비회복세 주춤 고용은 양호한 상태이지맘 취업자수 증가 규모가 점차 감소 수출부진이 완화되면서 성장세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b..

경제지표 Check 2023.08.25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주간-8월 둘째주)_고용지표

전일 발표된 8월 둘째주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를 확인해보자. 미 노동부에서 발표한 8월 둘째주(23.8.5~23.8.11) 기준 청구건수는 전주 대비 1만1천건 감소한 239,000건이었다. 지난주 3주치를 만회하며 증가세로 돌아섰으나 다시 소폭 하락했다. 지난주 상승분으로 인해 4주 이동평균은 2천건 넘게 상승하며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주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면서 실업율이 상승할 기미가 보이는 것이 아닌가 했지만 역시 변동성이 큰 지표라 일정기간의 수치 변화를 함께 보아야할 것 같다. 전주에도 언급했듯이 계속실업수당 청구건수(신규 실업수당 청구 후 재청구 건수) 는 오히려 감소했기에 일자리를 잃더라도 금방 다른 일자리를 구할 수 있는 고용 환경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고용시..

경제지표 Check 2023.08.18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PI)_23년 7월(8월 발표)

23년 7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대비 3.2% 올랐다. 전월 대비로는 0.2%p 오른 수치다. 에너지와 식품 물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core-CPI)는 전년 동월대비 4.7% 올랐다. 전월 대비로는 0.1%p 감소한 수치다. 물가가 전월대비 소폭 올랐음에도 근원물가는 오히려 감소했고, 예상치보다도 소폭 하회하는 수치라 반기는 분위기다. 그래프로 보면 CPI는 12개월 연속 하락하다 이번에는 소폭 상승했지만 예상치보다는 낮았다. 근원물가(core-CPI) 또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높을 것이라 예상했는데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어 물가가 금방 잡힐거라는 기대심이 생기는 듯 하다. 다만 근원물가의 하락속도가 CPI에 비해 더딘 편이라 여전히 안정세로 가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

경제지표 Check 2023.08.11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주간-8월 첫째주)_고용지표

어제 발표된 8월 첫째주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를 확인해보자. 미 노동부에서 발표한 8월 첫째주(23.7.31~23.8.4)기준 청구건수는 24만8천건으로 전주에 비해 2만1천건이나 증가했다. 지난주 3주 연속 감소세를 멈추고 소폭 증가했었는데 이번 발표 수치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4주 이동평균 또한 2천7백건 정도 증가했다. 이번 주간의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해서 고용시장이 불안정해지고 있다고 단정할 순 없다.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비교적 빨리 확인할 수 있는 고용지표지만 변동성이 큰 편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계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보다 감소해 실업자들이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상태는 아닌것으로 보인다. 물가가 연준이 목표로 하는 2%에 도달하기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이고 고용..

경제지표 Check 2023.08.11

경기순환시계(23년 6월)_8월 발표

경기순환시계란, 주요 경제지표 10개의 경기순환국면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경기는 "상승-둔화-하강-회복"의 국면으로 반복된다. 경기순환시계에 나타나는 지표는 6개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1. 생산 부문 지수 : 광공업 생산지수, 서비스업 생산지수 2. 소비 부문 지수 : 소비 판매지수 3. 투자 부문 지수 : 설비투자지수, 건성기성액 4. 대외 부문 지수 : 수출지수, 수입지수 5. 고용 부문 지수 : 취업자수 지수 6. 심리 부문 지수 : 기업경기실사지수, 소비자기대지수 통계청에서 발표한 23년 6월 경기순환시계로 경기동향을 살펴보자. 23년 6월 기준, 상승과 회복 국면에 있는 지표가 5가지, 둔화와 하강 국면에 있는 지표가 5가지다. 전월과 비교하면 건설기성액과 취업자수가 상승 ▶ ..

경제지표 Check 2023.08.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