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3년 6월 한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7% 상승하였다.
전년대비 물가 상승률은 작년 6.3%로 고점을 찍고 계속 하락해 이번에 2%대로 내려왔다.
금리하락을 기대하기에는 반가운 소식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질적으로 물가가 잡히고 있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품목별 세부내역을 살펴보면,
물가상승률을 끌어내리는 데 크게 기여한 부분이 석유류 품목이다.
아래 표를 보면 석유류의 기여도가 -1.47%로 물가상승률의 1.5% 가량을 끌어내린 결과가 됐다.
지난 해 급등한 석유가격이 제자리를 찾으면서 전체 물가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를 빼고 본다면
물가상승의 압력이 아직 남아있다고 볼 수 밖에 없다.
반면 전기,가스,수도는 25.9%나 올라 물가상승의 체감이 크다.
정리하면, 이달 물가상승률 하락은 석유류 가격의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하반기 물가상승률은
지금 수준에서 유지되거나 다시 3%대로 올라설 수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 같다.
더불어 미국의 근원물가(Core-CPI)도 쉽게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아 연준은 두번에 걸친 50bp의
금리인상을 고려하고 있다. 금리인상은 끝날듯 안끝나고 있다.
한국의 기준금리의 결정도 미국의 금리인상을 고려해 더 올릴지 침체를 고려해 동결할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 _ )
반응형
'경제지표 Che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실업률(23년 6월)_7월 발표 (0) | 2023.07.08 |
---|---|
미국 실업수당청구건수 (주간-6월 마지막주)_고용지표 (0) | 2023.07.06 |
ISM 제조업 구매자관리 지수(PMI)_23년 6월 (0) | 2023.07.04 |
한국 무역수지 및 수출입동향 (23년 6월)_7월 발표 (0) | 2023.07.01 |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23년 5월)_6월 발표 (0)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