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에서 PER 다음으로 많이 관심 가지는 지표가 ROE 이지 않을까 한다.
"ROE"는 자기자본이익율 이라 부르는데, 투입한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이 얼마의 비율인가를 말한다.
즉, 부채를 제외한 순수 내 자본으로 벌어들인 이익이 얼마인지를 나타낸다.
워런버핏은 ROE 15%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는 기업에 투자하라고 이야기한다.
월단위로 백테스트한 젠포트뷰에서 ROE 펙터는 어떤 성과를 보일까?
10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ROE가 큰 분위의 그룹일수록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홍용찬 님의 [실전 퀀트투자] 책에서 한국주식에서 높은 ROE 그룹은 큰 성과를 낼 수 없다고 했는데,
이는 한국에서 ROE가 높은 기업의 주식은 이미 시장에서 고평가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라고 한다.
때문에 ROE 펙터에 PBR(주가순자산비율)도 함께 적용하여 ROE는 높지만 PBR은 낮은 종목으로 전략을 짜보려고 한다.
두 펙터를 합한 콤보 전략의 다분위 분석 결과를 보아도 괜찮은 전략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 설정_ 높은 ROE, 낮은 PER, 매출성장률이 높은 종목 투자하기
시가총액 하위 20%(C)이면서 분기자산회전율이 상위 20%(A)인 종목을 국민 MT(B)에 매수한다.
국민 MT에 매도하고 익절 30%, 손절 15%로 설정하였다.
①분기 ROE가 높은 순 ②분기 PBR이 낮은 순 ③분기매출성장률(QOQ)이 높은 순으로 정렬한 후
각 순위를 더해 낮은 순으로 매수하기로 우선순위를 넣었다.
매출성장률은 ROE를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함께 넣어보았다.
■ 결과
• 틱테스트 기간 2017.1.2~2023.5.26(6년) • 수수료율 0.015%
누적수익률 430.42%, CAGR 29.8%, MDD 44.75%의 결과가 나왔다. 6년 만에 원금이 5.3배가 되는 전략이 나왔지만,
21년에 수익율이 700% 이상까지 올랐다가 이후 계속 하락 추세다. MDD가 끔찍하다.
재무 관련 전략만으로 한 백테스트의 경우 21년 하락장은 거의가 헬 그 자체이다.
20년까지 백테스트해보고 우상향 하는 전략이라 생각하고 큰맘 먹고 21년에 자금을 모두 투입했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이런 걸 보면 아무리 잘 나온 전략도 불안해진다.
다양한 포트를 연구하고 전략을 계속 보완하게 되는 이유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
'Genport 전략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젠포트 전략 연구 13-2. 신고가 돌파 종목 매수 전략2 (0) | 2023.06.06 |
---|---|
젠포트 전략 연구 13-1. 신고가 돌파 종목 매수 전략 (0) | 2023.06.04 |
젠포트 전략 연구 11. 거래대금 이용한 단타 전략 (4) | 2023.05.28 |
젠포트 전략 연구 10-2. 저PER / 저PSR 투자 전략(우선순위로) (2) | 2023.05.26 |
젠포트 전략 연구 10-1. 저PER / 저PSR 투자전략 (2)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