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port 전략 연구

젠포트 전략 연구 4-1. 소형주/성장주 전략 공개

퀀퀸 2023. 5. 16. 06:07
반응형

회사의 이익이 증가하면 주가는 함께 상승한다. 또는 매출액이 크게 늘어난 것만으로도 차후에 이익도 커질 거라는 기대감에 주가는 상승하기도 한다.

퀀트 투자자라면 "성장성이 높은" 주식에 투자하는 포트를 기본적으로 하나쯤은 갖고 있을 것이다. 나도 성장성 대비 저평가되어 있는 종목에 투자하는 포트를 필수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소형주 중 전 분기 대비 이번 분기에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이 크게 증가한 종목을 찾아 백테스트 해보자.

 

■ 설정_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성장이 큰 순으로 투자하기

시가총액 하위 20%인 종목을 매수하되 마켓타이밍은 코스닥 지수의 60일 이동평균선이 240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을 때만 매수하고 아래로 내려가면 매도하는 방식을 이용했다.

A. 시가총액 하위 20%

B. "60일 이동평균선 종가 ÷ 240 이동평균선 종가"가 1보다 크면 매수

조건식4

성장주 투자의 경우 마켓타이밍 적용은 3개월 리밸런싱을 많이 이용하는데 이는 분기마다 발표되는 재무제표를 바로 반영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분기 리밸런싱은 직접 백테스트 해보면 MDD가 40% 이상으로 하락장에서는 그대로 충격을 받는다. 

따라서 좀 더 유연한 마켓타이밍을 적용해 보기 위해 60일 이평선이 240일 이평선 위에 있을 때, 즉 상승장에서만 매수하고 하락장에서는 매도하는 것으로 설정했고 익절, 손절가는 설정하지 않았다. 국민 MT를 적용할 수도 있지만 이번 포트는 분기 리밸런싱처럼 자주 매매하지 않으면서 하락장에는 대비할 수 있는 이평선의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이용해 보았다.

우선순위-4

우선순위의 조건은  매출액성장율, 영업이익성장률, 순이익성장률의 순위를 다 더한 것의 오름차순으로 설정했다.  

 

■ 결과

틱테스트 기간 2017.1.2~2023.5.15(6년)

결과-4

누적수익률 145.59%, CAGR 15.16%, MDD 29.5% 의 결과가 나왔다. 이 정도 수익률로 만족할 순 없지 않은가. 어떻게 수익률을 끌어올려볼까 고민해 보았다.

보완-4

MDD 그래프를 보니, 마켓타이밍의 적용에 있어 아쉬운 점이 드러나 보인다. 60일 이평선이 꺾인 후 240 이평선 아래로 내려가는 시기, 즉 하락장이 시작되는 초반에 특히 크게 깨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손익절 라인을 정해서 손익을 확정하면 이때의 수익을 지키고 수익률을 끌어올릴 수 있지 않을까.

전략을 더 업그레이드 해서 다음 포스팅에서 연구해 봐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