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 투자

미국 소매판매증가율과 코스피의 상관 관계

퀀퀸 2023. 6. 7. 06:01
반응형

 

미국의 소매판매액의 증가율을 나타낸 지표인 "미국 소매판매증가율"에 대해 알아보자.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규모를 가진 미국은 "소비의 나라"이다.

미국에서 소비할 물품 대부분은 해외에서 수입된 것이기 때문에 미국의 소비가 둔화되면 세계경제에 영향을 준다.

특히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23년 5월 기준 한국의 대미 수출비중은 25%를 차지한다.

 

수출비중
한국의 지역별 수출액 / 산업통상자원부. 23년5월

 

소매판매는 소비자가 직접 돈을 내고 구매활동을 하는 마트, 백화점, 편의점 등에서 쇼핑한 양이다.

말 그대로 진짜 실물경제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경기 둔화가 나타나면 실믈 경제에 타격이 오는 것은 당연하다. 

기업 이익 감소 → 고용시장이 둔화 → 소득 감소 소비 감소 → 기업 이익 감소 → .... (반복)

 

 

미국의 소매판매액이 어떻게 움직여왔는지 살펴보자.

 

미국소매판매액(파란선)과 한국주식(빨간선) / retrieved from FRED,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https://fred.stlouisfed.org/series/RSXFS, June 5, 2023.

 

미국소매판매액은 경제발전과 물가상승의 이유로 당연하게도  꾸준히 우상향해왔지만

경기침체로 인정된 시기에는 하락했던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주가와의 연관성에서 보았을 때, 경기침체기의 움직임은 동일하지만

주가의 변동성과 관련해서는 유의미한 움직임을 보기가 어렵다.

 

우리가 알고자하는 미국소매판매증가율은 어떨까.

소매판매증가율은 소매판매액의 작년 동월 수치와 비교한 변동률을 나타낸다.

 

미국소매판매증가율의 움직임을 주가 지수와 비교해보자.

 

미국소매판매증가율(파란선)과 한국주식(빨간선) / retrieved from FRED,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https://fred.stlouisfed.org/series/RSXFS, June 7, 2023.

 

위 소매판매액 그래프에서 보았듯이 소매판매액 자체는 계속 증가하므로 그 증가율

경기침체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기준선 0% 위에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중요한 건 주가와의 움직임과 함께 봤을 때 얼마나 유의미한가인데, 대체로 오르내림이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미국의 소비 증가 → 한국의 수출액 증가 → 기업 이익 증가 → 주가 상승.

결국, 미국의 소비가 증가해야 우리나라의 주가도 상승하는 구조인 것이다.

 

여러 지표들을 보아도 경기침체기 또는 침체기 전야가 확실하다 느껴지는 요즘 시기에

미국소매판매증가율도 계속 하락하고 있어 아직은 안심하고 주식에 큰 돈을 투자하긴 어려운 것 같다.

 

4월에 미국의 소매판매는 2개월 연속 하락 이후에 반등했다는 기사들로 희망론이 나오기도 했지만,

사실은 0.8%라는 예상치에도 못 미친 수치이며 일각에서는 인플레이션(0.4%)을 반영하면 증가율은 제로라고 한다.

 

미국 소매판매증가율을 이용한 듀얼스위칭 전략 보러가기  ↓

 

미국 소매판매증가율과 제조업 가격지수를 이용한 듀얼스위칭 전략

홍춘욱 박사님의 [돈의 흐름에 올라타라] 책에서 지표의 움직임을 이용해 투자하는 전략 중 듀얼스위칭2에 대해 공부해보려 한다. [돈의 흐름에 올라타라] 책 리뷰 ↓ [돈의 흐름에 올라타라] _책

quanstory.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