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3년 10월 한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 대비 3.8% 상승해 지난 8월 큰폭으로의 상승전환(2.3%→3.4%) 에 이어
9월(3.7%), 10월(3.8%)에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 달보다 0.1%p 내려와 3.2% 를 기록했다.
품목별 등락률 빛 기여도 변화를 살펴보자.
상품은 전년동월대비 4.7%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은 전년동월대비 7.3% 로 큰폭으로 올랐는데, 특히 농산물의 물가상승률이 13.5%나 올랐다.
공업제품은 전년동월대비 3.5% 상승했고, 전기 .가스 .수도는 전년동월대비 9.6% 상승했다.
서비스는 전년동월대비 3.0% 상승했는데, 공공서비스는 2.2%, 개인서비스는 4.1% 상승했다.
집세는 변동이 없었다.
기존의 높은 물가지수에 영향을 주었던 전기가스수도는 눈에 띄게 하락하고 있다.
서비스 물가지수도 둔화흐름을 보이고 있다.
10월 물가지수는 전기가스수도가 물가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농산물과 공업제품(가공식품,석유류)이 상방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은행은 앞으로 유가가 크게 오르지 않는다면 물가는 서서히 둔화흐름을 이어갈 것이라 보고 있다.
4% 가까운 고물가에, 국제정세로 유가 상승 위험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기때문에
2%라는 물가 안정을 찾는 것도,기준금리를 내리는 것도 긴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 _ )
반응형
'경제지표 Che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실업률(23년10월) 및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1) | 2023.11.06 |
---|---|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_23년10월 (0) | 2023.11.03 |
한국 무역수지 및 수출입 동향(23년 10월)_11월 발표 (0) | 2023.11.01 |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23년 9월)_10월 발표 (0) | 2023.10.31 |
장단기 금리차 역전_ 금리차 정상화 이후 경기침체 여부 (0) | 202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