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OIC 2

ROE, ROA, ROIC 중 수익률이 가장 높은 팩터는?

마법공식으로 ROE, ROA, ROIC 비교해 보기 지난 포스팅에서 자본 및 자산 대비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인 ROE, ROA, ROIC 의 개념정리를 해보고 재무제표에서 직접 산출해 보는 법도 알아보았다. 마법공식에서는 ROA(총 자산이익률)를 이용하였는데, 결이 비슷한 이 세 지표 중에서는 어떤 지표가 가장 높은 백테스트 수익률을 보여줄지 궁금하다. 그래서 이번에는 마법공식을 이용하되 ROA(총자산이익률)를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IC(투하자본이익률)로 각각 대체하여 백테스트 해보려고 한다. ■ 설정_ ROA를 이용한 마법공식에 ROE, ROIC 대체하기 마법공식에서는 ROA와 PER 두 가지 팩터만을 이용하였다. 적용한 팩터의 우선순위식은 다음과 같다. 순위내림차순({분기ROA})+순위오름차..

퀀트 투자 2023.07.18

ROE, ROA, ROIC 개념 정리 및 재무제표에서 확인하기

ROE, ROA, ROIC 란. 마법공식에 대해 공부한 이전 포스팅에서 자산수익률 지표인 ROA를 이용한 바 있다. 이렇게 회사의 투입자금 대비 수익률을 확인하는 지표로 ROE, ROA가 퀀트투자에 많이 쓰인다. 기업의 수익창출 능력을 알 수 있는 지표인 ROE, ROA에 대해 정리해 보고, 이보다 더 구체적(기업의 영업능력을 확인하는데) 지표인 ROIC 까지도 알아보자. 1. ROE(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 비율 ☞ 순수 내 자본 투입 기준으로 얼마나 벌고 있는가.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워런 버핏은 ROE가 15%가 되지 않는 기업에는 투자하지 말라고 한 바 있음. - 부채가 고려되지 않은 지표이기 때문에 많은 부채를 이용해 ..

퀀트 투자 2023.07.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