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BOJ)은 28일 통화정책 결정에서, 현재 완화정책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YCC(Yeild Curve Control, 수익률곡선통제)에 대해 상한선을 일정 부분 용인하는 방향으로 결정했다.
이 결정으로 한때 엔화는 치솟고 미국 국채금리 수익률도 상승했다.
이러한 현상의 이유와 엔화의 방향성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기존 일본 통화정책과 이유
일본이 시행하던 통화정책인 YCC란 간단히 말해 장단기 금리를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일본은행은 10년물 금리가 0.5%를 넘어가는 국채는 무제한 사들여 금리를 0.5% 이하로 유지하는
식으로 완화정책을 해왔다. 전 세계가 금리를 높이는 가운데 일본이 저금리를 유지하는 이유는
긴 기간 이어지던 장기침체에서 드디어 벗어날 기회라고 보기 때문이다. 저물가, 저임금 등으로
장기간 침체를 겪어오던 일본이었으나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함께 일본의 CPI도 상승하면서,
이번 기회에 저물가를 탈출해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려는 것이다. 이러한 일본의 통화
완화정책은 엔저 현상을 심화시켰고, 환차익 및 일본 경제성장을 고려한 외국 투자 자금의 유입도
커지고 있다.
YYC 상한선을 일부 용인하려는 이유
일본은행(BOJ)은 지난 통화정책 회의에서 장기 금리가 0.5%를 넘어도 기존처럼 국채 매입에
바로 나서지 않겠다고 했다. 대신 1%가 넘는 선에서는 매입에 나서겠다고 한다. 즉, 국채 금리를
0.5~1% 내에서 관리하겠다는 것으로 기존보다 좀 더 유연하게 관리를 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엔화는 일시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3.7%까지 떨어졌던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28일 한때 4%까지 치솟았다. 일본 국채 수익률이 높아지면 해외 투자자금의 매도와 함께
일본 국채 매수수요가 늘기 때문이다.
일본은 왜 YCC의 상한선을 일부 용인한 것일까.
일본은행은 그 이유를 그동안 무제한 사들인 국채 매입으로 채권시장에 생길 수 있는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또한 이 결정이 통화 긴축을 위한 것이 아니고 시장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며 긴축으로 보는 시장의 반응을 경계하는 듯했다.
향후 엔화의 방향은
이번 결정이 통화 긴축을 위한 것은 아니라고 일본은행은 일축하고 있지만 당일 시장의 반응은
그렇지 않았다. 향후에 이번 결정이 어떻게 평가될지는 모르겠지만 당장 혼란스러운 것은 사실이다.
여전히 완화적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긴축적 조치라는 평가도 존재한다.
일본이 보는 물가 전망치는 여전히 목표보다 낮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일본이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하기 어렵다고 보면서도, 한편으로는 YCC 변동폭을 확대한 것 자체가 긴축 단계라고 보는 시선도 있다.
어쨌든 이번 조치로 실제 일본이 국채금리 0.5%가 넘어가도 국채 매입을 하지 않는다면 엔화 약세 압력이
제한될 것은 분명해보인다.
다만 몇일이 지난 현 시점에서는 비둘기파적인 일본의 태도에 그래도 당분간 긴축정책을 펴긴 어려울
것이라는 시장판단이 더 큰 것 같다. 엔화는 강세에 잠깐 머물렀다가 다시 약세로 돌아왔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본다면 미국의 금리는 1~2년 후면 내리겠지만 일본은 현재 금리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더
올린 수준일 가능성이 높아 엔화는 아주 서서히 정상화(강세)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여러 국제 상황들이 얽히고설켜 매크로 투자로도 수익을 내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
미국의 금리 동결이 다가온다고 보여 곧 장기채 가격이 오를 것으로 기대했는데 갑자기 일본의 YCC가
조정되면서 미국 장기채 가격은 또 한 번 큰 폭으로 하락했다(투자에서 복병은 어디에나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번 조치로 일본의 엔화는 강세로 돌아서면서 환차익은 노릴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금방 다시 엔화는 약세로 돌아서 있는 상태다)
매크로 투자에서 자산배분이 중요한 이유다. 매크로 투자는 극에 달해 있는 어떤 자산을 사놓고
진득하게 기다리면 된다. 액티브한 재미는 없지만 경제 상황을 더 빠르게 캐치할 수 있어 개별주식
투자와 함께 하기 좋다. 특히 반대로 움직이는 곳에 분산투자 해놓고 각각의 자산이 움직이는 것을
보면 공부가 많이 되는 것 같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 _ )
'매크로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얼스위칭(미국 소매판매증가율과 미국 제조업가격지수) 매수 타이밍 포착 (0) | 2023.10.18 |
---|---|
미국 국채 30년물(미국 장기채) ETF 비교 (0) | 2023.10.14 |
일본 상장 미국 장기채 투자하기_환차익+채권 동시투자 (2) | 2023.07.09 |
[돈의 흐름에 올라타라]_스위칭 투자법 (0) | 2023.07.08 |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PMI)와 코스피 상관관계 (0) | 202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