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Check

경기순환시계 (23년 4월)

퀀퀸 2023. 6. 10. 22:14
반응형

 

통계청에서 23년 6월 9일에 발표한 23년 4월 기준 경기순환시계로 본 경기동향을 살펴보자.

경기순환시계는 주요 개별경제지표의 경기순환국면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자.

 

경기순환시계 및 3월 지표 참고하기  ↓

 

경기순환시계

경기는 상승-둔화-하강-회복의 국면으로 반복된다. 이를 "경기순환"이라고 한다.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 "경기순환시계"이다. 통계청에서는 개별지표의 경기순환국면 상의 위치를 파악해

quanstory.tistory.com

 

23년 4월 기준 경기순환시계는 아래와 같다.

 

 

현재 회복, 상승 국면에 있는 지표가 6개, 둔화, 하강 국면에 있는 지표가 4개 이다.

10개 지표 모두 이전 달(3월 지표)과 위치 변화는 없었다.

 

경기순환시계에 나타나는 지표는 6개의 부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생산 부문 지수 : 광공업 생산 지수, 서비스업 생산 지수

    - 소비 부문 지수 : 소비판매 지수

    - 투자 부문 지수 : 설비투자 지수, 건설기성 지수

    - 대외 부문 지수 : 수출 지수, 수입 지수

    - 고용 부문 지수 : 취업자수 지수

    - 심리 부문 지수 : 기업경기실사 지수, 소비자기대 지수

 

개별 지표의 동향 및 경기순환시계 상의 위치를 살펴보자.

 

광공업 생산 : 21'4월 둔화 ▶ 21'6월 상승 ▶ 22'3월 둔화 ▶ 22'9월 하강 ▶ 23'3월~ 회복

 

서비스업 생산21'4월 회복 ▶ 22'1월 상승 ▶ 22'9월 둔화 ▶ 22'2월 상승 ▶ 23'3월~ 둔화

 

소매판매 : 21'4월 상승 ▶ 21'6월 상승 ▶ 21'10월 둔화 ▶ 22'6월 하강 ▶ 23'1월~ 회복

 

설비투자21'4월 상승 ▶ 21'5월 둔화 ▶ 22'1월 하강 ▶ 22'4월 회복22'4월 회복 ▶ 22'5월 상승 ▶ 22'10월 둔화 ▶ 23'1월~ 하강

 

건설기성 : 21'4월 하강 ▶ 21'8월 회복 ▶ 22'2월 하강 ▶ 22'4월 회복 ▶ 22'9월~ 상승

 

수출액 : 21'4월 둔화 ▶ 21'8월 상승 ▶ 22'3월 둔화 ▶ 22'9월 하강 ▶ 23'1월~ 회복

 

수입액21'4월 상승 ▶ 21'5월 둔화 ▶ 21'8월 상승 ▶ 22'1월 둔화22'4월 상승 ▶ 22'9월 둔화 ▶ 23'2월~ 하강

 

취업자수 : 21'4월 회복 ▶ 21'12월 상승 ▶ 22'6월 둔화 ▶ 23'1월~ 상승

 

경기기업실사지수 : 21'4월 상승 ▶ 21'8월 둔화 ▶ 22'8월 하강

 

소비자기대지수 : 21'4월 상승 ▶ 21'8월 둔화 ▶ 22'3월 하강 ▶ 22'12월~ 회복

 

경기순환시계 상에 표시되는 지표들은 현재의 경기를 나타내는 경기동행지수와

경기를 예측하는 경기선행지수에 이용된다. 두 지수에 이용되는 개별지표는 다음과 같다.

  - 경기동행지수 : 광공업 생산 지수, 서비스업 생산 지수, 소비판매 지수, 건설기성 지수, 수입액, 취업자수(비농림어업)

  - 경기선행지수 : 기업경기실사지수, 소비자기대지수, 설비투자 지수, 수출입지수

경기선행지수에 이용되는 지표는 대부분 하강 국면에 있다.

 

23년 4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보러가기 ↓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23년 4월)_5월 발표

주식 투자자라면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방향 전환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이전 포스팅 보러 가기↓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경기선행지수란 앞으로의 경기동향

quanstory.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