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실업률은 한국증시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한국은 수출로 먹고사는 국가다. 미국의 소비액에 따라 우리 기업의 이익이 결정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의 경제가 호황일 때는 소비가 늘고 이에 따라 기업이익이 증가하고 고용도 증대되는 선순환이 이루어진다.
즉, 미국의 고용 상황이 안정적이어야 소비가 늘고, 한국의 수출도 잘되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의 고용지표인 실업율은 연준의 통화정책과 관련해 민감하게 보아야 하는 통계 중 하나다.
미연준(FED)의 목표는 최종적으로 물가와 고용 두가지 모두의 안정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현시점에서 아이러니하게도 연준은 미국의 실업율이 어느 정도 올라가길 기다리고 있다.
물가를 잡는 것이 급선무이기 때문이다.
코로나로 어마어마하게 풀린 돈이 만든 높은 물가를 잡고자 연준은 1년간 금리를 5.25%까지 가파르게 올렸고,
이런 통화 정책으로 물가는 9.1%(22년6월) 최고점을 찍고 1년 만에 4.0%(23년 5월)까지 떨어졌다.
미국이 금리를 과감하게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생각보다 미국 고용시장이 안정적이기 때문이었다.
최근 FOMC에서 연준은 금리를 동결하긴 했지만 추가 상승의 가능성도 충분히 언급했다.
이렇게 높은 금리 상황에도 연준이 아직까지도 금리 상승의 가능성을 열어둔 이유는 무엇일까.
물가(CPI) 자체는 눈에 띄게 잡히고 있지만 근원물가(Core-CPI)가 잡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본 것처럼 근원물가가 잡히지 않는 이유 중 가장 큰 부분이 주거비와 서비스 비용이다.
특히 서비스 비용은 인건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이 인건비를 떨어뜨리려면 고용이 줄어야 하니,
연준의 입장에서는 경기침체를 어느정도 유발해 실업률이 올라가길 바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결과로 근원물가가 잡힌다는 확신이 서는 시기가 되어서야 금리 하락을 검토할 것이다.
본격적으로 실업율과 실업수당청구건수에 대해 알아보자.
"실업자"를 규정하자면, ①일을 할 수 있지만 ②현재 직업이 없고 ③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을 말한다.
실업률과 실업수당청구건수는 무엇이 다르길래 따로 보는 것일까.
"실업률"은 비자발적 퇴사자 및 자발적 퇴사자를 통틀어 통계에 포함시키는 반면,
"실업수당청구건수"는 비자발적 퇴사자의 수치만 반영한다.
실업수당은 비자발적 퇴사자만 청구할 수 있기 때문에 강제해고된 실업자의 통계만 집계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의 고용은 매우 탄력적이어서 회사가 어려우면 바로 인력 감축(강제해고)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실업수당청구건수는 특히 현재 경제상황을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본다.
최근에 발표된 실업률과 실업수당청구건수를 살펴보자.
미국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최근(23년 5월) 실업률은 직전 달보다 0.3% 증가한 3.7%였지만 큰 변화는 아니었다.
코로나 때 14%까지 올랐던 실업율은 이 후로 급격하게 떨어져 22년부터는 3%대로 고용시장이 탄탄함을 알 수 있다.
최근(5.29~6.2) 실업수당청구건수는 26만1천 건으로 21년 10월 이후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최근 수치들을 보면 전반적으로 상승 움직임이 있어 보이지만 변동성이 큰 통계라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다.
단기적으로는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는 듯하지만 본격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아직도 3.7%의 실업률은 고용이 탄탄하다고 말해주고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에 영향을 주려면 실업률과 실업수당청구건수가 더 높은 수치로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이번에는 미국 실업률과 실업청구수당건수의 의미와 이 통계가 연준의 통화정책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앞으로 연준은 물가와 함께 고용지표의 변화를 관찰하며 통화정책을 결정할 것이므로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고용지표를 체크하며 대응해야 하겠다.
☆ 최근 소비자물가지수(CPI) 포스팅 보러 가기 ↓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_CPI (23년 5월)
어제 미국 노동부(https://www.bls.gov/)에서 발표한 CPI를 살펴보자. 5월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전년동월 대비(YOY) 4.0% 올랐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Core-CPI)는 5.3
quanstory.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_ _ )
'경제지표 Che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실업수당청구건수 (주간-6월 셋째주)_고용지표 (0) | 2023.06.22 |
---|---|
미국 실업수당청구건수 (주간-6월 둘째주)_고용지표 (0) | 2023.06.16 |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_CPI (23년 5월) (0) | 2023.06.14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0) | 2023.06.13 |
경기순환시계 (23년 4월) (0) | 2023.06.10 |